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러시아에 “전 재산 다 퍼줬다가” 10분의 1도 못 받고 쫄딱 망한 ‘나라’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조회수  

러시아에 “전 재산 다 퍼줬다가” 10분의 1도 못 받고 쫄딱 망한 ‘나라’

북한, 러시아 전쟁 지원에 GDP 3분의 1 쏟아부어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를 전폭적으로 지원했지만, 정작 되돌아온 보상은 극히 미미하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 2023년 이후 러시아에 제공한 무기와 병력의 시장 가치는 최대 98억 달러(약 13조 5700억 원)로, 이는 북한 연간 GDP 추정치의 3분의 1을 넘는 수준입니다.


포탄·미사일·병력까지 쏟아부은 북한

보고서는 북한이 러시아에 수백만 발의 122㎜·152㎜ 포탄, 248기의 KN-23 탄도미사일, 집속탄 등을 공급했으며, 약 1만5000명의 병력까지 파병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사실상 전 재산을 퍼부은 수준의 지원이었지만, 이를 통해 기대했던 대규모 보상은 현실화되지 않았습니다.


돌아온 건 10분의 1, 1조6000억 원 규모 그쳐

러시아가 북한에 제공한 물자의 가치는 최대 11억9000만 달러(약 1조6500억 원)에 불과했습니다. 주로 식량과 석유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일부 방공 시스템과 GPS 교란기, 신규 전투기 정도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제 지표상 외화 유입도 확인되지 않았고, 기술 현대화 지원도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평가입니다.


러시아, 의도적으로 ‘쥐꼬리 보상’?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보상이 턱없이 적은 이유가 단순한 여건 문제가 아니라 전략적 의도일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보고서를 작성한 구세이노바 한국외대 강사는 “러시아는 평양의 의존도를 높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지원을 제한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다시 말해, 북한을 ‘줄 세우기’ 위한 압박 카드로 활용하고 있다는 해석입니다.


북한이 얻은 전략적 이득은?

그럼에도 북한은 러시아 지원을 통해 일부 전략적 보상을 얻은 것으로 보입니다. 자국 무기 체계를 실제 전장에서 시험할 기회를 얻었고, 잠재적 기술 노하우 접근, 그리고 일정 수준의 국제 정치적 인정이 그나마 수확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결국 불평등한 거래임을 알면서도 북한이 관계를 유지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의 엇갈린 전망

한국국방연구원은 러시아가 북한에 제공한 지원 규모가 최대 200억 달러(약 27조8000억 원)에 달할 수 있다고 분석했지만, 이번 재단 보고서는 그 절반 이하일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러시아의 보상은 더디고 제한적이지만, 북한은 여전히 ‘실익 없는 동맹’을 이어갈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습니다.


핵심 정리

1 북한, 러시아에 무기·병력 등 13조 원 이상 규모 지원
2 러시아가 되돌려준 보상은 10분의 1 수준, 약 1조6000억 원에 불과
3 주요 지원 물자는 식량·석유·방공 시스템 등 제한적
4 러시아, 의도적으로 보상을 축소하며 북한 의존도 높이는 전략
5 북한은 불평등에도 불구, 무기 시험·정치적 인정 등 일부 전략적 이익 얻음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