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14년째 기싸움” 완공한 대교를 한 번도 쓴 적 없다는 ‘유령 다리’ 정체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조회수  

“14년째 기싸움” 개통 못한 채 방치된 유령 다리, 우륵교의 현실

? 32억 들였지만 14년째 ‘불통 다리’

대구 달성군과 경북 고령군을 잇는 810m 길이의 ‘우륵교’는 2012년 완공됐지만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일반 차량이 달려본 적이 없는 ‘유령 다리’로 전락했다. 사업비 32억 원이 투입된 다리는 본래 강정고령보 유지·관리 차량용으로만 설계돼 주민들이 실제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개통됐다면 2㎞, 3분 거리로 연결될 양 지역이 현재는 15㎞를 돌아 40분을 소요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 2012년 이후 이어진 끝없는 갈등

우륵교는 처음부터 통행 제한 다리로 준공됐다. 이후 고령군 주민들은 통행 허용을 요구했지만, 달성군 주민들은 교통 혼잡과 안전 문제를 이유로 반대했다. 2014년 권익위원회가 ‘대체 도로 건설’을 중재했지만, 2017년 KDI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으면서 무산됐다. 이때부터 사실상 14년째 대치 상태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 달성군 주민 반대, 이유는?

달성군 주민들이 통행 개방을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생활권 혼잡과 사고 위험 우려다. 다사읍은 이미 교통량이 많은 지역인데, 고령군 차량까지 몰려들 경우 생활 환경이 악화된다는 입장이다. 일부 주민들은 ‘고령군의 이익을 위해 달성군 주민이 피해를 본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 고령군 주민의 피해 주장

반대로 고령군 주민들은 통행 제한으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호소한다. 물류 차량이 우회하면서 연간 300억 원 규모의 물류비가 추가로 발생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게다가 통행 불편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도 지연돼 생활권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는 목소리도 크다.


? 대체도로 건설안도 난항

권익위가 제안한 ‘강정고령보 상류 1㎞ 지점의 광역도로 신설’은 예타에서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무산됐다. 이후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새로운 해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우륵교는 활용되지 못한 채 세금만 투입된 대표적인 ‘혈세 낭비’ 사례로 꼽히고 있다.


? 지역 간 신뢰의 균열

우륵교 문제는 단순한 도로 개통을 넘어 지역 갈등의 상징이 됐다. 고령군은 ‘생활권 단절과 경제적 피해’를, 달성군은 ‘안전과 생활권 침해’를 이유로 맞서면서 신뢰가 깨진 상태다. 양측이 합의하지 않는 한 다리는 앞으로도 계속 ‘유령 다리’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 핵심 정리

  1. 우륵교는 2012년 완공 후 14년째 차량 통행 불가 상태
  2. 고령군 주민들은 연간 300억 원 물류비 손실을 주장
  3. 달성군 주민들은 안전사고와 교통 혼잡을 이유로 반대
  4. 권익위 대체도로 건설안은 예타 탈락으로 무산
  5. 지역 갈등만 커진 채, 다리는 세금 낭비 사례로 남아 있음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