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세계 최강 산업이라 했지만 “연봉은 50%” 수준이라 탈한국 한다는 ‘이곳’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조회수  

세계 최강 원전 산업, 그런데 “연봉은 50%” 수준이라 탈한국 고민 중인 이유

? 한국 원전 산업, 세계 최고지만 인력은 흔들린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원전 기술 강국이다. 아랍에미리트 바라카 원전 수출을 성공적으로 이끈 경험을 비롯해 세계 최상위 수준의 건설·운영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산업 종사자들의 현실은 달랐다. 임금 수준이 해외 대비 절반 수준에 머물면서 우수 인력의 해외 유출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 해외와 비교된 임금 격차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 원전 인력 연봉은 한국보다 평균 1.65배, 캐나다는 1.26배 높았다. 일본조차 상위 25% 기준으로는 한국보다 높은 보수를 유지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위 25% 원전 종사자들의 평균 임금을 보면 한국은 1억2894만 원인데, 미국은 2억1487만 원, 캐나다 1억6719만 원, 일본 1억6246만 원으로 조사됐다. 즉, 최고 수준 인력일수록 한국이 가장 낮은 대우를 받고 있는 셈이다.


⚠️ 탈원전 정책 후유증, 또다시 위기?

문재인 정부 시절 추진된 ‘탈원전 정책’은 국내 원전 산업 생태계를 크게 흔들어 놓았다. 협력업체 도산, 신규 일자리 축소, 전문 인력 이탈 등이 이어졌다.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뒤에는 글로벌 원전 수요 확대에 발맞춰 복원 정책을 추진하면서 2023년 원전 종사자는 3만6107명으로 소폭 회복됐다. 하지만 최근 들어 신규 원전 건설을 백지화할 수 있다는 발언까지 나오며 ‘탈원전 시즌2’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 정책 혼선이 불러올 인재 유출

현재 산업통상자원부는 신규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전(SMR) 1기 도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새로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민 공론을 거쳐 판단해야 한다”며 신중론을 펴고 있다. 이처럼 부처 간 정책 엇박자가 이어지면 원전 생태계는 다시 불확실성에 빠질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젊은 원전 인재들은 더 나은 조건을 찾아 미국, 캐나다 등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다.


? 전문가들의 경고

한국수력원자력 노조와 한국원자력학회는 한목소리로 “원전 업무를 환경 규제 중심 부처에 맡기면 산업이 위축된다”고 지적했다. 또 “세계적 기술을 보유한 만큼 우수 인력에게 합당한 보상과 안정된 정책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임금 격차 문제만이 아니라, 정책 신뢰도와 일자리 안정성이 맞물려야 원전 강국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핵심 정리

  1. 한국 원전 인력 연봉은 해외 대비 평균 27% 낮음
  2. 상위 25% 기술 인력 기준, 미국은 한국의 약 2배 수준
  3. 문재인 정부 ‘탈원전’ 후유증으로 산업 생태계 이미 한 차례 붕괴
  4. 현 정부 내에서도 신규 원전 건설을 두고 정책 혼선 발생
  5. 임금·정책 불안이 겹치며 우수 인력의 해외 유출 가속 우려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