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든 기업” 수천억에 기술 팔라 해도 안 판다는 ‘이곳’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든 기업” 수천억에 기술 팔라 해도 안 판다는 ‘이곳’
메타의 인수 제안, 그리고 단칼에 “NO”
전 세계 ICT 업계가 깜짝 놀랐다. 글로벌 시총 6위 기업 메타(구 페이스북)가 한 한국 중소기업에 수천억 원 규모의 인수 제안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과는 예상 밖이었다. 해당 기업은 단칼에 거절했다. 자본력과 네트워크를 앞세운 메타의 접근에도 흔들리지 않고, “돈이 아닌 비전”을 선택한 것이다. 메타가 탐낸 건 단순한 반도체 기술이 아니라, 앞으로 인공지능 산업의 게임 체인저가 될 ‘패러다임 전환의 열쇠’였다.

160명이 해낸 일, 엔비디아조차 놀랐다
이 놀라운 일을 해낸 주인공은 한국의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FuriosaAI). 엔비디아조차 “수만 명이 투입돼도 어려운 영역”이라 평가하던 초대형 언어모델(LLM) 운용을 불과 160명으로 구현해냈다. 기존 GPU 중심의 범용 연산이 아닌, AI 전용 반도체 아키텍처를 설계해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쉽게 말해, 엔비디아가 ‘가솔린 차량’을 만든다면 퓨리오사는 ‘전기차’를 설계한 셈이다. 결과적으로 속도와 효율 모두 새로운 차원에 도달했다.

‘레니게이드’, 한국형 AI 반도체의 완전체
퓨리오사가 선보인 신형 칩 ‘레니게이드(Renegade)’는 기존 2세대 대비 연산 성능 10배, 메모리 처리 속도 25배 향상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SK하이닉스의 HBM(고대역폭 메모리)를 탑재하면서 ‘한국형 AI 반도체 생태계’의 완전체가 탄생했다는 평가가 이어진다. 단순히 반도체 기술의 진보가 아니라, 한국이 독자적으로 AI 인프라 생태계의 새로운 축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엔비디아의 독점적 구조에 균열을 낸 첫 사례로도 평가된다.

실제 검증까지 끝났다, LG AI연구원의 실험
기술의 진짜 가치는 ‘실제 적용’에서 증명된다. LG AI연구원이 퓨리오사의 칩 기반에서 직접 GPT 모델을 구동한 결과, GPU 서버와 견줘도 손색없는 성능을 확인했다. 오히려 에너지 효율에서는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 실험은 퓨리오사의 기술이 단순한 이론이 아닌, 산업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실전 솔루션임을 입증했다. 이로써 퓨리오사는 단숨에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핵심 변수’로 떠올랐다.

글로벌 협력 가속, 엔비디아에 도전하는 한국
퓨리오사는 이미 TSMC의 5나노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 단계에 돌입했다. 여기에 미국 서버 시장 점유율 1위 기업 슈퍼마이크로(Supermicro)와의 협력까지 성사되며, 글로벌 인프라 시장 진입이 가시화됐다. 엔비디아·인텔 중심의 AI 칩 시장 구도 속에서, 이제 한국의 중소기업이 새로운 균형추로 등장한 것이다. 이 변화는 한국 반도체 생태계 전체의 도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핵심 정리
1 메타가 한국 AI 반도체 기업 퓨리오사AI에 수천억 원 인수를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2 160명 규모의 팀이 초대형 AI 모델 운용에 성공하며 엔비디아의 구조를 뒤집었다.
3 신형 칩 ‘레니게이드’는 SK하이닉스 HBM과 결합해 10배 이상의 연산 효율을 기록했다.
4 LG AI연구원 검증을 통해 실제 산업 적용 가능성이 입증됐다.
5 TSMC, 슈퍼마이크로 등 글로벌 협력 확대 속에 한국 반도체의 새 시대가 열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