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미국이 “한국 조선업 밀어주자” 오히려 일본이 갑자기 감사 인사한 이유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조회수  

미국이 “한국 조선업 밀어주자” 오히려 일본이 갑자기 감사 인사한 이유

미국이 세계 조선업의 균형을 다시 세우겠다며 ‘조선산업 재건 프로젝트’를 꺼냈다. 그 대상은 한국과 일본이었다. 미·일 정상회담 이후 백악관은 일본이 약속한 5,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항목 중 하나로 조선업 협력을 명시하며, 신규 조선소 건설과 방산용 선박 협업까지 포함시켰다. 미국은 동맹국의 기술력과 생산력을 빌려 쇠락한 자국 조선업을 되살리겠다는 구상을 내놓은 것이다. 그러나 이후 상황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렀다.


일본 정부의 ‘가자’ 외침, 기업의 ‘못 간다’ 선언

일본 정부는 이번 협력을 절호의 기회로 보고 조선 대기업들을 미국 진출에 동참시키려 했지만, 업계 반응은 싸늘했다. 일본 최대 조선사 이마바리조선의 희가키 유키토 사장은 “현재 일본의 점유율이 13%로 떨어진 상황에서 우리가 미국을 도울 처지가 아니다”라며 정부 제안을 사실상 거부했다. 미쓰비시중공업 역시 미해군 함정 수리 참여 요청에 대해 “논의가 없고, 인력과 자원이 부족하다”며 발을 뺐다. 수십 년간 이어진 산업 침체와 인력난이 발목을 잡은 셈이다.


일본 조선업의 구조적 한계, ‘못 가는 이유’는 분명하다

일본 조선업계가 미국 진출을 꺼리는 이유는 단순히 비용 문제가 아니다. 우선 미국의 높은 인건비는 조선 프로젝트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또 조선업은 수십만 개의 부품이 얽힌 산업으로, 공급망이 완비되지 않으면 생산 자체가 불가능하다. 희가키 사장은 “부품만 10만~20만 개에 달한다. 공급망이 없는 곳에 공장을 세우는 건 무리”라고 잘라 말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내 공급망 구축에 최소 5~10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 정반대의 선택…“기회는 준비된 자의 것”

반면 한국은 미국의 러브콜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정부는 1,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약속하며, 조선·에너지·플랜트 협력 체계를 전면적으로 열었다. 결정적 장면은 2024년 12월 한화그룹의 미국 필리 조선소 인수였다. 일본이 주저하던 바로 그 ‘미국 본토 생산거점’을 한국이 단숨에 확보한 것이다. 이는 단순한 투자 이상의 의미였다. 한국은 조선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지정해 위기 때마다 금융 지원과 기술 투자를 병행해왔고, 그 토대 위에서 과감히 글로벌 확장을 실행했다.


한국의 원팀 전략, 일본은 ‘부럽지만 감사하다’

한국은 정부와 기업이 손발을 맞추며 조선·에너지 인프라를 하나의 생태계로 연결시켰다. 인력난은 외국인 숙련공과 로봇 기술로 극복했고, 기술 투자와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시장을 선점했다. 반면 일본은 정부의 의욕에도 기업이 따르지 못하며 답보 상태에 놓였다.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이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을 맡아주자 일본 정부는 안도감을 드러냈다. “한국이 대신 짐을 져줬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다. 한국이 길을 닦아주면 일본은 훗날 그 노하우를 따라갈 수 있다는 계산까지 나온다.


핵심 정리

1 미국은 조선업 재건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일본을 핵심 파트너로 제안했다.
2 일본은 공급망·인건비·인력난을 이유로 협력 참여를 거부했다.
3 한국은 한화의 필리 조선소 인수로 미국 내 생산거점을 선점했다.
4 한국 정부는 1,500억 달러 투자를 약속하며 국가적 차원의 지원 체계를 구축했다.
5 결과적으로 일본은 “한국이 대신 해줘서 다행”이라며, 한국의 성공을 향후 벤치마킹할 전망이다.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