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60 넘어 월 수입은 얼마여야 괜찮을까? 계산해봤습니다.

성장곰 조회수  

은퇴 후에도 매달 돈이 꾸준히 들어오는 건 단순한 ‘소득’이 아니라 ‘마음의 안정’이다. 60세 이후, 일을 그만두고 연금만으로 살 수 있을까 하는 불안은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실제로 생활비, 병원비, 여가비 등을 고려하면 막연한 계산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60세 이후엔 월 수입이 어느 정도 되어야 ‘괜찮다’고 할 수 있을까?

1. 기본 생활비만 고려해도 최소 250만 원 이상 필요하다

통계청과 국민연금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60세 이상 부부의 평균 생활비는 약 250만 원 수준이다. 이는 식비, 공과금, 교통비 등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금액이다.

하지만 외식, 경조사, 여가비가 추가되면 300만 원은 금세 넘는다.

2. 의료비는 해마다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나이가 들수록 지출에서 가장 가파르게 늘어나는 항목이 의료비다. 특히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경우 월평균 30만~50만 원이 더 필요하다.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이 있어도 비급여 항목과 약값, 검사비는 결코 적지 않다.

3. 노후에도 여가와 인간관계는 필수다

‘먹고사는 것만 해결되면 된다’는 생각은 위험하다. 노후의 우울과 고립은 경제적 문제 못지않게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취미생활, 여행, 친구들과의 모임비 등 최소 50만 원 정도의 여가비를 예산에 포함해야 한다. 돈을 아끼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생의 즐거움을 유지하는 게 더 중요하다.

4. 안정적인 수입 구조가 핵심이다

은퇴 후 월 300만~400만 원 정도의 안정적인 현금 흐름이 있다면 비교적 여유 있는 생활이 가능하다. 연금, 임대수익, 투자이익, 파트타임 등 다양한 소득원을 마련해두는 것이 이상적이다.

한 곳에서 끊기면 다른 곳에서 보완할 수 있도록 ‘다중 수입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노후는 단순히 돈의 문제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삶의 구조’를 만드는 일이다. 60세 이후의 월 수입이 300만 원이라면 최소한의 안정, 400만 원 이상이라면 여유 있는 생활이 가능하다.

중요한 건 돈을 모으는 게 아니라, 돈이 계속 흘러들어오게 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인생의 후반전은 ‘얼마 버느냐’보다 ‘어떻게 버느냐’가 승부를 가른다.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