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지난해 주식 불공정거래 60%는 ‘이것’

데일리안 조회수  

금융위에 통보한 불공정거래 혐의는 98건

미공개정보이용 사건이 59건으로 가장 많아

부정거래, 시세조종은 각각 18건과 16건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서울사옥 전경(자료사진) ⓒ한국거래소

지난해 한국거래소가 적발한 주요 주식 불공정거래 사건 10건 중 6건은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사건으로 확인됐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12일 ‘2024년도 불공정거래 심리실적 및 특징 분석’ 자료를 내고 지난해 금융위원회에 불공정거래 혐의를 통보한 사건은 모두 98건이라고 밝혔다.

미공개정보이용 사건이 59건(60.2%)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부정거래(18건·18.4%), 시세조종(16건·16.3%)이 뒤를 이었다.

미공개정보이용 사건의 경우, 공개매수 실시와 관련해 호재성 정보를 이용하는 사건이 다수 발생하면서 전년 대비 16건 증가했다는 게 거래소 측 설명이다.

반면 증시 부진 등 시장 상황으로 인해 부정거래 사건과 시세조종 사건은 전년 대비 각각 41.9%, 30.4% 감소했다.

시장별로 보면, 전체 불공정거래 혐의 사건 중 코스닥시장에서 발생한 건수가 72건으로 가장 많았다. 코스피 시장은 24건, 코넥스 시장은 1건 등으로 확인됐다.

상장종목 수 대비 혐의 통보 비중도 코스닥시장(4.0%)이 유가증권시장(2.5%)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배구조가 취약하고 중소형 한계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은 코스닥시장 상장 종목이 불공정거래 주요 대상이 됐다는 평가다.

지난해 사건당 평균 혐의자 수는 15명으로 전년(20명) 대비 5명 감소했다. 거래소는 “다수 연계군이 형성되는 부정거래 및 시세조종 사건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거래소는 기업가치와 무관하게 정치테마주 등 특정 테마에 편승해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 주가 급변에 취약할 수 있다며 기업가치와 실적 분석을 통한 책임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거래소는 “특정 혐의자의 반복되는 불공정거래에 대해 집중 심리하고, 고빈도 알고리즘 매매를 통한 시장 질서 교란 행위에 대한 심리 강화, 리딩방 등 온라인 활용 불공정거래 관련 혐의 입증을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